난청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착용자의 청력상태에 맞게 소리를 증폭시켜주는 의료기기인 보청기가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습니다.
보청기는 사이즈와 착용 위치에 따라 초소형 고막형, 고막형, 외이도형, 귓바퀴형, 오픈형, 귀걸이형으로 구분됩니다.
보청기는 형태에 따라 출력범위가 다양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난청수준과 생활환경을 고려한 보청기착용이 필요합니다.
초소형 고막형(IIC) |
고막형(CIC) |
외이도형(ITC) |
귓바퀴형(ITE) |
오픈형(RIE) |
귀걸이형(BTE) |
보청기의 종류
보청기는 사이즈와 착용 위치에 따라 초소형 고막형,
고막형, 외이도형, 귓바퀴형, 오픈형, 귀걸이형으로
구분됩니다. 보청기는 형태에 따라 출력범위가
다양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난청수준과
생활환경을 고려한 보청기착용이 필요합니다.
초소형 고막형(IIC)
고막형(CIC)
외이도형(ITC)
귓바퀴형(ITE)
오픈형(RIE)
귀걸이형(BTE)
보청기가 필요한 이유
청력손실과 난청의 특징때문에 보청기가 필요합니다.
또한 자신에게 맞는 소리를 찾지 않으면
사용 시 불편해 착용을 잘 안하게 되므로
보청기 전담 청각사와 함께 본인의 청각상태에 맞는
소리를 찾아가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01. 청력손실의 속도와 정도는 점점 빨라집니다.
청력손실은 처음에는 인지하지 못 할 정도로 천천히
진행되지만 이를 방치할 경우 청력손실의 가속성에 의해
더 빠르게 청력이 손실됩니다.
02. 청신경은 재생이 불가합니다.
현대 의학기술로는 한번 손상된 청력을 다시 재생시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청신경이 손상되지 않도록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강북보아스이비인후과
청각장애진단 검사과정
청각장애진단은 2-7일의 간격을 두고
총 3차에 걸쳐 진행됩니다.
1차 검사 | - 순음청력검사(PTA) - 임피던스청력검사(IA) - 이음향방사검사(OAE) - 스피치검사 |
2-7일 후 | |
2차 검사 | - 순음청력검사(PTA) - 청성뇌간반응검사(ABR) - 스피치검사 |
2-7일 후 | |
3차 검사 | - 순음청력검사(PTA) - 스피치검사 - 검사결과 서류발급 |
* 1,2,3차 검사결과가 비슷하게 나와야 장애등급이 나옵니다.
* 병원에서 발행받은 서류를 동주민센터에 신청 후 한달-두달이
지난 후 장애등급 결과가 나옵니다.
* 동주민센터에서 받은 장애등급 결과지를 갖고 다시 내원해
주시면 됩니다.
* 장애등급을 받은 후 청각사와 만나 보청기 상담을 하실 수
있습니다.
* 상담과 예약을 원하실때는 밑에 배너를 클릭한 후 카톡으로
상담해 주세요!
보청기 [건강보험 급여비]
최대 131만원지원
청각장애로 장애등급 판정을 받으신 분에 한하여
보청기 건강보험 급여비가 지원됩니다.
국민건강보험 혜택을 받으실 수 있으며
자격 조건으로 복지카드를 꼭 발급 받으셔야 합니다.
01. 장애등급 판정 (청각) 등록신청-읍면동 | 02. 시군구(읍면동) 진단의뢰(*생략가능) -강북보아스이비인후과 |
03. 강북보아스 이비인후과 장애진단/진단서 발급 | 04. 시군구(읍면동) 심사요청 -연금공단 |
05. 연금공단 장애심사/ 결과통보 | 06. 시군구(읍면동) 등록-장애인 |
강북보아스이비인후과
보청기 전담 청각사 / 전문청능사
서 연 학
학력 및 경력
2005 한림대 청각학과 학사
2010 청능사 자격검정원 청능사 자격증 취득
2010 우리난청센터 고객지원팀 근무
2012 우린와우센터 병원영업팀 근무
2013 우리난청센터 인천지사 지사장
2014~2017 Bio Soundlab 보청기 개발 벤처회사 근무 / Widex 병원사업부 근무
2017 현재, 이어프렌드 보청기 사업자 대표 / PHONAK 클리닉 사업부 영업팀장
청력손실과 난청의 특징때문에 보청기가 필요합니다.
보청기는 난청을 개선하기 위해 착용자의 청력상태에 맞게 소리를 증폭시켜주는 식약처에서 허가한 의료기기입니다.
또한 자신에게 맞는 소리를 찾지 않으면 사용 시 불편해 착용을 잘 안하게 되므로
보청기 전담 청각사와 함께 본인의 청각상태에 맞는 소리를 찾아가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청력손실의 속도와 정도는 점점 빨라집니다. 청력손실은 처음에는 인지하지 못 할 정도로 천천히 진행되지만 이를 방치할 경우 청력손실의 가속성에 의해 더 빠르게 청력이 손실됩니다. | 청신경은 재생이 불가합니다. 현대 의학기술로는 한번 손상된 청력을 다시 재생시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청신경이 손상되지 않도록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